“세계 금융 중심지 홍콩에서 시위가 터졌다.” 2019년, 전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은 장면이었다. 경찰의 최루탄, 검은 복장의 시민들, 그리고 수백만 명의 거리 행진. 이 격렬한 장면의 중심에 있던 도시는 다름 아닌 ‘홍콩(Hong Kong)’이었다.
하지만 이 시위는 단순한 법안 하나에 대한 반대가 아니었다. 그 안에는 오랜 역사와 정치적 균열, 그리고 자치권을 둘러싼 깊은 불신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홍콩 사태는 왜 시작되었고, 그 근본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홍콩은 원래 중국 청나라의 일부였으나, 1842년 아편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며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99년 임대 계약을 통해 신계 지역까지 포함되며, 홍콩 전역은 1997년까지 영국의 통치를 받게 된다.
1997년 7월 1일, 홍콩은 공식적으로 중국에 반환되었지만 ‘일국양제(一國兩制)’라는 특별한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이는 하나의 국가이지만, 두 개의 정치·경제 체제를 인정한다는 원칙이었다.
‘1국 2체제’는 다음과 같은 핵심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시스템은 **중국과 영국이 1984년 체결한 ‘홍콩 반환 공동선언’**에 명시되었으며, 홍콩 시민들은 이를 통해 자유와 법치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다.
하지만 현실은 점차 다르게 흘러가기 시작했다.
홍콩 시민들은 오랜 식민지 시절 동안 서구식 법치주의, 언론 자유, 선거 참여 문화에 익숙해져 있었다. 그러나 반환 이후 중국 본토 정부는 점차 홍콩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확대하며 친중국 중심의 통제 시스템을 강화해왔다.
행정장관 선출 | 보통선거를 통한 직접 투표 | 친중파 선거인단이 간접 선출 |
언론 자유 | 비판과 풍자의 자유 | 국가 안보를 이유로 검열 강화 |
표현의 자유 | 자유로운 시위와 집회 | 집회 허가제, 국가전복 위험 요소로 간주 |
이처럼 민주주의적 기대와 중앙 통제 사이의 모순은 점차 누적되며 시민들의 정치적 불만을 키웠다.
2019년 초, 홍콩 정부는 ‘범죄인 인도 조례 개정안’(송환법)을 추진했다. 이 법안은 홍콩에서 체포된 범죄 용의자를 중국 본토로 송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었다.
그러나 시민들은 이 법이 단순한 형사 협조가 아닌 사법권 독립을 침해하고, 인권 탄압의 도구가 될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특히 중국 본토의 불투명한 재판 시스템과 정치범 탄압 전력을 우려한 시민들이 대규모로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이 같은 목소리는 빠르게 확산되었고, 그해 6월 수십만 명의 시민이 거리를 메웠다.
홍콩 민주화 시위는 2019년에 갑자기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이미 2014년, **‘우산혁명’**이라 불린 대규모 민주화 운동이 있었다.
이 시위는 중국 정부가 홍콩 행정장관 후보 자격을 제한하며 ‘보통선거’를 실질적으로 막은 것에 대한 반발이었다. 수십만 명이 거리에서 장기간 점거 시위를 벌였고, 시위대는 우산을 들고 경찰의 최루탄과 고무탄에 맞서 싸우며 세계적인 상징이 되었다.
비록 이 시위는 제도적 변화를 이끌지는 못했지만, 홍콩 시민—특히 젊은 세대—의 정치적 각성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고, 2019년 송환법 반대 운동의 전초가 되었다.
홍콩 사태는 단순한 국내 사안이 아니다. 그것은 ‘자유와 통제’, ‘법치와 권위’, ‘자치와 통합’ 사이의 충돌이 만들어낸 국제적 갈등이자, 21세기 민주주의의 방향성과 본질을 묻는 사건이었다.
2019년 수백만 명이 외친 “광복홍콩, 시대혁명(光復香港 時代革命)”이라는 구호는 단지 체제를 넘어서,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에 대한 절박한 외침이었다.
📌 이 모든 과정은 사실 1997년, 아니 어쩌면 1842년부터 예정된 시간표였을지도 모른다.
홍콩사태 시리즈 [2부] - 홍콩은 어떻게 거리로 나섰는가?
홍콩사태 시리즈 [2부] - 홍콩은 어떻게 거리로 나섰는가?
🇭🇰 홍콩은 어떻게 거리로 나섰는가? 송환법 반대에서 시민 혁명까지 2019년, 홍콩의 거리는 단순한 항의가 아닌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타올랐다. ‘송환법’ 하나로 시작된 시위는 자유, 자치,
nampo2895.tistory.com
홍콩사태 시리즈 [3부] - 자유의 도시가 침묵한 날
🔒 홍콩 국가보안법 – 자유의 도시가 침묵한 날 2020년 6월 30일, 홍콩은 역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가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홍콩 국가보안법(N
nampo2895.tistory.com
홍콩사태 시리즈 [4부] - 자유의 도시는 정말 침묵했을까?
홍콩사태 시리즈 [4부] - 자유의 도시는 정말 침묵했을까?
🇭🇰 홍콩 국가보안법 이후, 자유의 도시는 정말 침묵했을까? 2020년 6월 30일, 홍콩 국가보안법이 공식 시행되던 날, 수많은 홍콩 시민의 스마트폰에서는 텔레그램 탈퇴, 트위터 계정 삭제, 채팅
nampo2895.tistory.com
홍콩사태 시리즈 [5부] - 하나의 중국 안에서 갈라진 두 자유의 이야기
홍콩사태 시리즈 [5부] - 하나의 중국 안에서 갈라진 두 자유의 이야기
🇭🇰 홍콩과 대만은 왜 달라졌을까? – 하나의 중국 안에서 갈라진 두 자유의 이야기 홍콩과 대만. 지도에서 보면 멀지 않은 두 곳이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른 길을 걷고 있다. 하나는 침묵했고
nampo2895.tistory.com
홍콩사태 시리즈 [3부] - 자유의 도시가 침묵한 날 (2) | 2025.06.29 |
---|---|
홍콩사태 시리즈 [2부] - 홍콩은 어떻게 거리로 나섰는가? (2) | 2025.06.29 |
유대인 시리즈[3부] - 고난을 넘어 세계로, 오늘의 유대인 (5) | 2025.06.29 |
유대인 시리즈 [2부] - 유대인 박해의 역사 (1) | 2025.06.29 |
유대인 시리즈 [1부]-유대인의 기원 (0) | 2025.06.29 |